20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영어 한줄 해석 (18-25번)

20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영어영역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18번

I hope this email finds you well.
이 이메일을 받으셨기를 바랍니다.
Thank you for considering me as a speaker for the upcoming Digital Marketing Workshop.
다가오는 디지털 마케팅 워크숍에서 연사로 저를 고려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I appreciate the invitation and your thoughtfulness.
초대해 주시고 세심한 배려에 감사를 드립니다.
The workshop sounds like an amazing event, and I would have loved to participate.
워크숍은 정말 멋진 행사인 것 같으며, 저도 참여하고 싶었습니다.
However, I regret to inform you that I will be overseas on a business trip during the workshop.
그러나 아쉽게도 워크숍 기간 동안 해외 출장 중이어서 참석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It is unfortunate that the timing does not work out.
시기적으로 맞지 않아 아쉽습니다.
Although I cannot attend as a speaker this time, I remain hopeful for future opportunities where our schedules might coincide.
이번에는 연사로 참석할 수 없지만, 우리의 일정이 맞아떨어지는 미래의 기회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I hope the workshop goes well.
워크숍이 잘 진행되기를 바랍니다.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19번

Setting out to find some wood for the campfire, Sarah moved through the forest.
캠프파이어를 위한 나무를 찾으러 나선 사라는 숲 속을 지나고 있었다.
Just then, she noticed an approaching danger ─ a large, threatening bear.
그때 그녀는 다가오는 위험을 눈치챘다. 크고 위협적인 곰이었다.
Panic spread through her body.
공포가 그녀의 몸에 퍼졌다.
Frozen and unable to shout, she watched in horror.
얼어붙은 채 소리조차 지를 수 없었던 그녀는 공포에 휩싸인 채 지켜보고 있었다.
Her heart beat louder with each step the bear took.
곰이 한 걸음씩 다가올 때마다 그녀의 심장은 더 크게 뛰었다.
But then, as if by a miracle, the bear paused, looked around, and, uninterested, turned away, retreating into the shadows of the woods.
하지만 마치 기적처럼 곰이 멈춰서 주위를 둘러보더니, 흥미를 잃은 듯 숲 속의 어둠 속으로 돌아갔다.
When the bear had disappeared completely out of her sight, her knees nearly gave way.
곰이 완전히 시야에서 사라졌을 때, 그녀의 무릎은 거의 풀릴 뻔했다.
Sarah could finally let out the breath she had been holding.
사라는 그제서야 참았던 숨을 내쉬었다.
A wave of immense relief washed over her.
엄청난 안도감이 그녀를 감쌌다.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20번

There are few universals in this world, but among them are our love for our children and our love of music.
이 세상에는 보편적인 것들이 거의 없지만, 그것들 중에 우리 아이들에 대한 우리의 사랑과 음악에 대한 우리의 사랑이 있다.
When we hold a baby in our arms, comforting her with song, we are channelling the emotional power of music.
우리가 아기를 우리 팔에 안고, 그녀를 노래로 다독일 때, 우리는 음악의 정서적 힘을 전하고 있다.
We do so instinctively, just as our ancestors did.
꼭 우리 조상들이 했던 것처럼, 우리는 본능적으로 그렇게 한다.
Music can be a powerful parental ally during the challenging child-rearing years.
음악은 아이를 키우는 힘든 시기 동안 강력한, 부모의 협력자가 될 수 있다.
To successfully prepare our children for life in the twenty-first century, we will need to nurture qualities such as curiosity, imagination, empathy, creative entrepreneurship, and most of all resilience.
21세기에서의 삶에 우리 아이들을 성공적으로 준비시키기 위해, 우리는 호기심, 상상력, 공감, 창의적 기업가 정신, 그리고 무엇보다도 회복력과 같은 자질들을 길러줘야 할 것이다.
Musical practice in early childhood develops all of the above and more.
초기 유년기의 음악 연습은 위의 모든 것과 그 이상을 발달시킨다.
Research has shown that musical practice in early childhood is beneficial not only for mental acuity but fo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s well.
연구는 초기 유년기에서 음악 연습은 정신의 예리함뿐만 아니라 사회적 그리고 정서적 발달에도 유익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Music is not just a hobby, a pleasant pastime; it is an integral part of what makes us happy, healthy, and whole.
음악은 단지 취미, 즐거운 오락거리가 아니고, 우리를 행복하고 건강하며 온전하게 만드는 것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Indeed, if we want to do one thing to help our children develop into emotionally, socially, intellectually, and creatively competent human beings, we should start the musical conversation ─ the earlier the better.
사실, 우리가 우리 아이들을 정서적으로, 사회적으로, 지적으로, 그리고 창의적으로 유능한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 한 가지를 하고 싶다면, 우리는 음악적인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 더 빠를수록 더 좋다.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21번

In 1890, William James described attention as “the taking possession by the mind, in clear and vivid form, of one out of what seem several simultaneously possible objects or trains of thought.”
1890년에 William James는 주의력을 ‘정신으로, 동시에 가능한 여러 대상들 혹은 생각의 맥락들 같은 것 중 하나를 분명하고 선명한 형태로 차지하는 것’이라고 기술했다.
Attention is a choice we make to stay on one task, one line of thinking, one mental road, even as attractive offramps signal.
주의력은 심지어 매력적인 빠져나가는 길이 신호를 보내도, 하나의 일, 하나의 사고 방식, 하나의 정신의 길에 머무르기 위해 우리가 하는 선택이다.
When we fail to make that choice and allow ourselves to be frequently sidetracked, we end up in “the confused, dazed, scatterbrained state” that James said is the opposite of attention.
우리가 그 선택을 하지 못하고 우리 자신을 자주 곁길로 새게 할 때, 우리는 James가 주의력의 반대라고 말한 ‘혼란스럽고, 멍하고, 정신이 산만한 상태’에 결국 처하게 된다.
Staying on one road got much harder when the internet arrived and moved much of our reading online.
인터넷이 등장하고 우리 독서의 대부분을 온라인으로 이동시키자, 한 길에 머무르는 것은 훨씬 더 어려워졌다.
Every hyperlink is an off-ramp, calling us to abandon the choice we made moments earlier.
모든 하이퍼링크는 빠져나가는 길이며, 우리가 잠깐(의 순간) 전에 한 선택을 포기하라고 우리를 부른다.
Nicholas Carr, in his 2010 book, grieved his lost ability to stay on one path.
Nicholas Carr는 그의 2010년 저서에서 한 길에 머무르는 그의 능력을 잃어버린 것을 슬퍼했다.
Life on the internet changed how his brain sought out information, even when he was off-line trying to read a book.
인터넷에서의 생활은 그가 오프라인에 서 책을 읽으려고 노력하고 있었을 때조차 그의 뇌가 어떻게 정보를 찾아내는 지를 바꾸었다.
It reduced his ability to focus and reflect because he now craved a constant stream of stimulation:
이것은 그의 집중하고 성찰하는 능력을 감소시켰는데, 그는 이제 끊임없는 자극의 흐름을 갈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Once I was a scuba diver in the sea of words.
“한때 나는 언어의 바다 속 스쿠버 다이버였다.
Now I zip along the surface like a guy on a Jet Ski.”
이제는 제트 스키를 타는 사람처럼 수면 위를 쌩하고 지나간다.”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22번

Technical, book knowledge consists of “formulated rules which are, or may be, deliberately learned.”
기술적, 책(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은 ‘의도적으로 배우거나, 그럴 수도 있는, 체계적으로 표현된 규칙들’로 구성된다.
Practical knowledge, on the other hand, cannot be taught or learned but only transmitted and acquired.
반면에 실용적 지식은 가르쳐지거나 배울 수 없으며 오직 전해지고 습득된다.
It exists only in practice.
그것은 오직 실행 속에서만 존재한다.
When we talk about practical knowledge, we tend to use bodily metaphors.
우리가 실용적 지식에 관해 이야기할 때, 우리는 신체적 비유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We say that somebody has a touch for doing some activity ─ an ability to hit the right piano key with just enough force and pace.
우리는 누군가가 어떤 활동을 하기 위한 ‘솜씨’, 딱 필요한 만큼의 힘과 속도로 정확한 피아노 건반을 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We say that somebody has a feel for the game, an intuition for how events are going to unfold, an awareness of when you should plow ahead with a problem and when you should put it aside before coming back to it.
우리는 누군가가 게임에 대한 ‘감각’, 어떻게 사건들이 전개될지에 대한 직감, 여러분이 문제를 밀고 나가야 할 때와 그것으로 되돌아오기 전까지 제쳐 두어야 할 때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When the expert is using her practical knowledge, she isn’t thinking more; she is thinking less.
전문가가 자신의 실용적 지식을 사용하고 있을 때, 그녀는 더 생각하는 것이 아니다. 그녀는 덜 생각한다.
She has built up a repertoire of skills through habit and has thereby extended the number of tasks she can perform without conscious awareness.
그녀는 습관을 통해 기술의 레퍼토리를 쌓아 왔고, 그렇게 함으로써 의식적 인식없이 그녀가 수행할 수 있는 과제의 수를 늘려 왔다.
This sort of knowledge is built up through experience, and it is passed along through shared experience.
이러한 종류의 지식은 경험을 통해 쌓이고, 그것은 공유된 경험을 통해 다음으로 전달된다.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23번

The human desire to make pictures is deeply rooted.
그림을 만드는 인간의 욕망은 깊게 뿌리를 내리고 있다.
At least 64,000 years ago, Neanderthals used colored oxide and charcoal to make paintings of large wild animals, tracings of human hands, and abstract patterns on cave and rock walls.
적어도 6만 4천년 전에, 네안데르탈인은 색깔이 있는 산화물과 목탄을 사용하여 동굴과 암벽에 커다란 야생 동물의 그림, 사람 손의 모사(模寫), 그리고 추상적인 무늬를 만들었다.
Today, people create images with a multitude of mediums, including photography.
오늘날, 사람들은 사진 촬영을 포함한 다수의 도구로 그림을 만든다.
What drives this picturemaking impulse?
무엇이 이 그림을 만드는 충동을 이끄는가?
Some make pictures for commercial reasons.
어떤 사람들은 상업적인 이유로 그림을 만든다.
Others create informational systems or employ scientific imaging tools to visualize the unseen.
다른 사람들은 정보 체계를 만들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시각화하기 위해 과학적 이미지화 도구를 사용한다.
Artists use images expressionistically, to conceptualize and articulate who they are and how they view the world.
예술가들은 그들이 누구인지 그리고 그들이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개념화하고 분명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그림을 표현주의적으로 사용한다.
However, the fundamental motive for making the vast majority of pictures is a desire to preserve: to document, and therefore honor, specific people, events, and possessions of importance.
그러나, 그림 대부분을 만드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동기는 보존하려는 욕구인데, 기록하고, 그래서 중요성을 지닌 특정 사람들, 사건들, 그리고 소유물을 기념하려는 것이다.
Regardless of purpose, the making of images persists because words alone cannot always provide a satisfactory way to describe and express our relationship to the world.
목적과 관계없이, 그림 만드는 것은 지속되는데 말만으로는 세상과 우리의 관계를 설명하고 표현하는 만족할 만한 방법을 항상 제공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Pictures are an essential component of how humans observe, communicate, celebrate, comment, and, most of all, remember.
그림은 인간이 어떻게 관찰하고, 소통하고, 기념하고, 논평하고, 무엇보다도 기억하는지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What and how we remember shapes our worldview, and pictures can provide a stimulus to jog one’s memory.
우리가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기억하느냐가 우리의 세계관을 형성하고 그림은 누군가의 기억을 되살리는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24번

We naturally gravitate toward people whose views and beliefs are similar to our own, seeking what the eighteenth-century moral philosopher Adam Smith called “a certain harmony of minds.”
우리는 자연스럽게 견해와 신념이 우리 자신의 것과 유사한 사람들에게 자연히 끌리며, 18세기 도덕 철학자 Adam Smith가 ‘마음의 특정한 조화’라고 불렀던 것을 추구한다.
Spending time with people who share our opinions reinforces our group identity, strengthening trust, cooperation, equality, and productivity.
우리의 의견을 공유하는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는 것은 우리의 집단 정체성을 보강하여, 신뢰, 협력, 평등, 그리고 생산성을 강화한다.
Our shared reality grounds us not just in our common perceptions but in similar feelings and worldviews.
우리의 공유된 현실은 단지 우리의 공통의 인식뿐만 아니라 유사한 감정과 세계관에 근거를 두게 한다.
This helps to preserve our core values and beliefs about ourselves.
이는 우리의 핵심적인 가치와 자신에 대한 신념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
It also provides us with meaning and a feeling of self-worth.
또한, 그것은 우리에게 의미와 자아 존중감을 제공한다.
And with each decision or interaction that confirms our tribe’s common experience, we get rewarded with the hormonal happiness we crave.
그리고 우리 부족의 공통의 경험을 견고하게 하는 각 결정이나 상호 작용으로 우리는 우리가 갈망하는 호르몬의 행복으로 보상받는다.
Our perception of ourselves is a mixture of our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our sense of belonging to our in-groups.
우리 자신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우리 자신의 고유한 특성과 우리의 내집단에 대한 소속감의 혼합이다.
In fact, our personal identity is so closely interwoven with our social identity that our brains can’t tell them apart.
실제로 우리의 개인 정체성은 우리의 사회 정체성과 너무 밀접하게 뒤섞여서 우리 뇌는 그것들을 분간할 수 없다.
If I put you in a scanner and ask you to talk about yourself and then about the groups to which you feel the closest affinity, it will activate the same neural networks in your brain.
만약 내가 여러분을 스캐너에 넣고 여러분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게 한 다음 여러분이 가장 가까운 유사성을 느끼는 집단에 대해 이야기하게 한다면, 그것은 여러분의 뇌에서 동일한 신경망을 활성화할 것이다.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25번

The above graph shows awareness and usage of smartphone applications featuring machine learning in 2017.
위 그래프는 2017년에 기계 학습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인식도와 사용률을 보여준다.
In each of the five surveyed applications,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demonstrating awareness was higher than that of respondents demonstrating usage.
조사된 다섯 가지 애플리케이션 각각에서, 인식을 보인 응답자의 비율이 사용을 보인 응답자의 비율보다 높았다.
Predictive text had the highest percentages of respondents in both awareness and usage, among the five applications.
예측 텍스트는 다섯 가지 애플리케이션 중 인식도와 사용률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displaying awareness of voice search was more than four times that of respondents using it.
음성 검색에 대한 인식을 보인 응답자의 비율은 이를 사용하는 응답자의 비율보다 4배 이상 높았다.
Voice-to-text showed a higher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reporting awareness of it than email classification, while this was not the case in their usage.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이메일 분류보다 더 많은 응답자가 이를 인식하고 있다고 보고했지만, 사용률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showing usage of automated photo classification was less than half of the percentage of those showing awareness of it.
자동 사진 분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이를 인식하는 응답자의 비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