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영어영역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36번
From infancy, even before we learn to speak, we absorb how to infer people’s emotions from their behaviors.
유아기부터, 심지어 우리가 말하는 것을 배우기 전에, 우리는 어떻게 사람들의 감정들을 그들의 행동으로부터 추론하는지를 흡수한다.
As we grow older, however, this capacity can atrophy.
하지만, 우리가 나이가 들면서 이 능력은 쇠퇴할 수 있다.
We start to pay increasing attention to what people say rather than what they do, to the point where we can fail to notice nonlinguistic clues.
우리는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지보다 무엇을 말하는지에 점점 더 느는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하여, 비언어적인 단서들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정도에 이른다.
Spoken language is so information rich that it lulls us into ignoring hints that someone might be, say, upset and instead focus on their words when they say, It’s nothing. I feel fine.
구어는 정보가 매우 풍부해서 그것은 누군가가, 예를 들어, 화가 났을 수 있다는 힌트들을 우리가 무시하게 하고 그들이 ‘아무것도 아니야. 나는 괜찮아.’라고 말할 때 그들의 말에 대신 집중한다.
Some people, however, have a talent for detecting emotions, even when they’re unspoken.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심지어 그것들이 입 밖에 내어지지 않을 때도 감정들을 감지하는 재능을 가지고 있다.
We all know people like this: Friends who seem to intuit when we’re feeling down, even if we haven’t said anything; managers who sense when a kind word is needed to help us get over the hump at work.
우리 모두는 이와 같은 사람들(우리가 어떤 것도 말하지 않았더라도 우리가 마음이 울적한 때를 직관으로 아는 것처럼 보이는 친구들, 우리가 직장에서 고비를 넘기는 것을 돕기 위해 친절한 말이 필요한 때를 감지하는 매니저들)을 안다.
It’s natural to assume these people are unusually observant, or uncommonly sensitive.
이러한 사람들이 대단히 관찰력이 있거나, 굉장히 세심하다고 추측하는 것은 당연하다.
Sometimes they are.
때때로 그들은 그러하다.
But years of research indicates this is a skill anyone can develop.
하지만 수년간의 연구는 이것이 누구나 계발할 수 있는 기술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We can learn to identify the nonverbal clues that indicate someone’s true emotions and use these hints to understand what they are feeling.
우리는 누군가의 진짜 감정들을 보여 주는 비언어적 단서들을 알아보는 것을 배울 수 있고 이 힌트들을 사용하여 그들이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다.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37번
Some epistemic feelings let us know that we know.
어떤 인식론적 느낌들은 우리에게 우리가 안다는 것을 알게 한다.
These include the feeling of knowing, the feeling of certainty, and the feeling of correctness.
이것들은 안다는 느낌, 확신의 느낌, 그리고 정확함의 느낌을 포함한다.
For example, you feel sure that “1666” is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en did the Great Fire of London occur?”
예를 들어, 여러분은 “런던 대화재는 언제 발생했습니까?”라는 질문에 ‘1666년’이 답이라고 확신한다.
Feeling that you know, even that you are sure, is not unfailing.
여러분이 안다고, 심지어 확신한다고, 느끼는 것이 언제나 변함없는 것은 아니다.
We can be mistaken in those feelings.
우리는 그런 느낌들에서 잘못 알고 있을 수 있다.
Other epistemic feelings alert our attention to what we do not yet know.
다른 인식론적 느낌들은 우리가 아직 알지 못하는 것에 우리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Curiosity, awe, and wonder fall into this category.
호기심, 경외감, 그리고 놀라움이 이 범주에 속한다.
As with the feelings of knowing, we can ask whether feelings of not-yet-knowing are necessarily right.
안다는 느낌들에 서 그렇듯이 우리는 아직 알지 못한다는 느낌들이 반드시 맞는지 물을 수 있다.
It does seem that if you wonder at something, there is something that prompted you to wonder.
여러분이 무언가를 궁금해 한다면 여러분을 궁금해하게 한 무언가가 정말로 있는 것처럼 보인다.
This feeling alerts you to the fact that your current body of knowledge ─ the schemas, heuristics, and other information you use ─ did not prepare you for the thing you wonder at.
이 느낌은 여러분에게 여러분의 현재 지식 체계, 즉 스키마, 휴리스틱, 그리고 여러분이 사용하는 다른 정보가 여러분이 궁금해하는 것에 대해 여러분을 준비시키지 않았다는 사실에 주의를 환기시킨다.
As such, wonder is a useful emotion, because it points to gaps in what you thought you knew.
이처럼 놀라움은 유용한 감정인데 그것은 여러분이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던 것에 빈 곳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38번
Memory often plays tricks.
기억은 흔히 속임수를 쓴다.
According to Mlodinow, we give “unwarranted importance to memories that are the most vivid and hence most available for retrieval ─ our memory makes it easy to remember the events that are unusual and striking not the many events that are normal and dull.”
Mlodinow에 따르면, 우리는 ‘가장 생생하고, 따라서 불러오기에 가장 용이한 기억들에 부당한 중요성’을 부여한다. ‘우리의 기억은 평범하고 지루한 많은 사건들이 아니라, 색다르고 인상적인 사건들을 기억하는 것을 쉽게 만든다.’
The self-serving bias works because, as Trivers observes, “There are also many processes of memory that can be biased to produce welcome results. Memories are continually distorting in self-serving ways.”
자기 잇속만 차리는 편향이 작용하는데, Trivers가 논평하듯이, ‘기꺼이 받아들여지는 결과를 산출하도록 편향될 수 있는 많은 기억의 과정들이 또한 있으며, 기억들은 계속해서 자기 잇속만 차리는 방식으로 왜곡되고 있기’ 때문이다.
A recent study argues that several forms of cognitive bias cause distortions in storing and retrieving memories.
최근 한 연구는 인지적인 편향의 몇몇 형태가 기억들을 저장하고 불러오는 데 왜곡을 일으킨다고 주장한다.
This, in turn, has a bearing on theories of agenda setting, priming, and framing, which argue that how people respond to the news is strongly influenced by what is most easily and readily accessible from their memories.
이것은, 결국, 의제를 정하고, 준비하고, 구성하는 이론들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것들은 어떻게 사람들이 뉴스에 반응하는가가 그들의 기억들로부터 가장 쉽게 그리고 즉시 접근 가능한 것에 의해 강력하게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But what if memories about news stories are faulty and distort, forget, or invent what was actually reported?
하지만 만약 뉴스 기사에 대한 기억들이 불완전하고, 실제로 보도되었던 것을 왜곡하거나, 빠뜨리거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지어낸다면 어떠한가?
In such cases, it may be the manipulation of memories in individual minds that primes, frames, and sets the agenda, not the original news stories.
그러한 경우에는, 의제를 준비하고, 구성하고, 정하는 것은 원래의 뉴스 기사가 아니라 개인의 머릿속 기억들의 조작일 수도 있다.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39번
One way to catch a fly ball is to solve all the differential equations governing the ball’s trajectory as well as your own movements and at the same time reposition your body based on those solutions.
높이 친 공을 잡는 한 가지 방법은 여러분 자신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그 공의 궤적을 지배하는 모든 미분 방정식을 풀고, 동시에 그 해법에 따라 여러분의 몸의 위치를 움직이는 것이다.
Unfortunately, you don’t have a differential equation-solving device in your brain, so instead you solve a simpler problem: how to place the glove most effectively between the ball and your body.
불행히도, 여러분은 여러분의 뇌에 미분 방정식을 푸는 장치가 없어서, 대신 여러분은 더 간단한 문제(어떻게 그 공과 여러분의 몸 사이에 글러브를 가장 효과적으로 위치시킬지)를 푼다.
The cerebellum assumes that your hand and the ball should appear in similar relative positions for each catch.
소뇌는 여러분의 손과 그 공이 각 포구(捕球)마다 비슷한 상대적 위치에 나타나야 한다고 가정한다.
So, if the ball is dropping too fast and your hand appears to be going too slowly, it will direct your hand to move more quickly to match the familiar relative position.
그래서, 공이 너무 빠르게 떨어지고 있고 여러분의 손이 너무 느리게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이면, 그것은 여러분의 손을 더 빠르게 움직여 익숙한 상대적 위치에 맞추도록 지시할 것이다.
These simple actions by the cerebellum to map sensory inputs onto muscle movements enable us to catch the ball without solving any differential equations.
감각 입력을 근육 움직임에 연결시키는 소뇌에 의한 이러한 간단한 행동들은 우리가 그 어떤 미분 방정식도 풀지 않고 공을 잡을 수 있게 한다.
We are also able to use the cerebellum to anticipate what our actions would be even if we don’t actually take them.
우리는 또한 우리의 행동들이 무엇일지 예측하는 데에 소뇌를 사용할 수 있는데 설령 우리가 그것들을 실제로 하지 않아도 그러하다.
Your cerebellum might tell you that you could catch the ball but you’re likely to crash into another player, so maybe you should not take this action.
여러분의 소뇌는 여러분이 공을 잡을 수는 있지만 또 다른 선수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려줄 수도 있고, 그러면 여러분은 이 행동을 하지 않는 편이 좋을지도 모른다.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40번
Philosophical interest in poetry has been dominated by the question of whether poetry can aid philosophical thought and promote philosophical inquiry.
시에 대한 철학적 관심은 시가 철학적 사고를 돕고 철학적 탐구를 촉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의해 지배되어 왔다.
This focus reflects a tradition of philosophers like Pope and Rumi presenting their philosophical work in verse.
이 초점은 Pope와 Rumi와 같은 철학자들이 자신의 철학적 작품을 운문으로 나타내는 전통을 반영한다.
In addition, poets like William Wordsworth and T. S. Eliot have been celebrated as poet-philosophers, with their work valued as the product of philosophy through poetry.
게다가, William Wordsworth와 T. S. Eliot과 같은 시인들은 그들의 작품이 시를 통한 철학의 산물로 높이 평가받으며 시인철학자로서 찬사를 받아 왔다.
However, arguments against poetry having a role to play in philosophical inquiry have tended to focus on poetry’s (negative) relationship to truth (or, as John Koethe puts it, poetry’s indifference to truth).
그러나 시가 철학적 탐구에서 맡은 역할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반하는 주장들은 시와 진실 간의 (부정적) 관계(즉, John Koethe가 표현하듯, 진실에 대한 시의 무관심)에 집중해 온 경향이 있다.
Although we may accept works of poetry as having philosophical themes, this does not amount to doing philosophy through poetry.
우리는 시 작품들이 철학적 주제를 갖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지만, 이것은 철학을 시를 통해 하는 것과 마찬가지는 아니다.
One such argument hinges on the non-paraphrasability of poetry and form-content unity.
그러한 하나의 주장은 시의 다른 말로 바꾸어 표현할 수 없음과 형식 내용의 통일성 여하에 달려 있다.
The thought goes, if poetry is to play a role in philosophy, then it needs to be paraphrasable (that is, its content must be separable from its form).
그 생각은 만약 시가 철학에서 역할을 하려면, 그것은 다른 말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즉, 그것의 내용은 그것의 형식으로부터 반드시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으로 이어진다.
The assumption is that paraphrase is a mark of understanding and indicates that some proposition has a fixed meaning and that only a proposition with a fixed meaning can be evaluated in terms of truth or falsity.
이 가정은 다른 말로 바꾸어 표현하는 것이 이해의 표시이며 어떤 명제가 고정된 의미를 지닌다는 것과 고정된 의미를 지닌 명제만이 진실 혹은 거짓이라는 면에서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Poetry resists paraphrase: to change the words is to change the poem.
는 다른 말로 바꾸어 표현하는 것에 저항한다: 단어를 바꾸는 것은 시를 바꾸는 것이다.
24년 10월 고3 모의고사 41~42번
Vocal sounds produced by parrots,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y may be audibly indistinguishable from spoken words and regardless of the fact that someone or some group of people may take them to be words, are not words.
앵무새가 내는 목소리는, 그것이 들리기에는 소리내어진 말과 구별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그리고 누군가 또는 어떤 사람들의 집단이 그것들을 말이라고 여길 수도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말이 아니다.
They are not given a semantic dimension by physical similitude to spoken words.
그것들은 소리내어진 말과의 물리적 유사성으로 의미론적 차원이 주어지지 않는다.
Nor can the “talk” of a parrot be given a semantic dimension by being taken to be a set of linguistic acts.
앵무새의 ‘말’도 일련의 언어적 행위로 여겨지는 것으로도 의미론적 차원이 주어질 수 없다.
In like manner, weather etchings on a stone or shapes in the clouds, regardless of how physically similar they may be to written words or drawings of objects and regardless of what they are taken to be by observers, are not words or pictures.
마찬가지로, 돌에 있는 날씨 식각(날씨로 인해 새겨진 형상) 혹은 구름의 모양들은, 그들이 쓰여진 말이나 사물의 그림들과 물리적으로 얼마나 비슷한지와 관계없이 그리고 그들이 관찰자들에 의해 무엇으로 여겨질지와 관계없이, 말이나 그림이 아니다.
They do not have the appropriate etiology and they have no inherent semantic content or object.
그것들에는 적절한 원인의 추구가 없고, 그것들은 내재된 의미론적 내용이나 대상도 없다.
They are simply physical objects that resemble certain other things.
그것들은 단순히 특정한 다른 것들을 닮은 물리적 사물일 뿐이다.
For observers, they may call to mind the things they resemble.
관찰자들에게, 그것들은 그들이 닮은 사물들을 상기시킬 수도 있다.
In this regard, they may function as natural signs by virtue of the physical resemblance, but they have no semantic content about which one could be right or wrong.
이런 점에서, 그것들은 물리적 유사성 덕분에 자연적 기호로 기능할 수도 있지만, 그것들은 어떤 것이 옳거나 그를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의미론적 내용을 가지지 않는다.
If people take A to be a sign of B by virtue of some nonsemantic relation that holds, or is believed to hold, between A and B, A is a sign of B.
만약 사람들이 ‘A’와 ‘B’ 사이에 있는, 혹은 있다고 여겨지는, 어떤 비의미론적 연관성 덕분에 ‘A’를 ‘B’의 기호로 받아들인다면, ‘A’는 ‘B’의 기호이다.
But words, pictures, and images are not that way.
하지만, 말, 사진, 그림은 그런 식이 아니다.
They contain a semantic content to be understood.
그것들은 이해되어야 할 의미론적 내용을 가진다.